SNS 활동량이 많은 젊은 층은 소비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서도 최근 2000년 이후 태생인 젊은 소비자들이 뷰티 트렌드를 이끌어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티몰(Tmall) FMCG(소비재 부문)와 글로벌 시장조사 및 컨설팅 기업인 입소스(Ipsos)는 주요 FMCG 카테고리에 대한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뷰티 산업이 7가지 트렌드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소비자를 공략하기 위해서는 트렌드 파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는 '안티에이징' 이다. 보고서는 올해 티몰 618 쇼핑축제에서 안티에이징 키워드 검색량이 전년비 5배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주름 완화 제품은 판매액이 전년비 675% 증가했다. 밀레니얼 세대도 항노화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00년 이후 소비자의 안티에이징 검색량은 전년비 3배 증가했고, 특히 눈가 관리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세대의 항노화 전략이 '수비형'이었다면, 젊은 세대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밀레니얼 소비자들은 유효성분을 통한 효율적 스킨케어로 공격형 안티에이징을 선호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두 번째로는 '복합 기능의 자외선차단제'가 언급됐다. 자외선 차단제는 노화 방지를 위해서도 필수적인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안티 에이징 효과가 있는 기능성 자외선 차단제가 더욱 인기를 얻고 있다. 미백이나 톤업, 기미 제거, 영양소 공급, 블루라이트 차단 등 자외선 차단 외 추가 기능을 강조하는 것이 신규로 출시되는 자외선 차단제의 트렌드가 되었다는 설명이다. 세 번째는 '항알레르기'다. 보고서는 코로나19 등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과 스트레스, 환경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알레르기 방지 제품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에센스·크림·로션·마스크팩 등 다양한 제품이 항알레르기를 표방하고 출시돼 많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다. '오일 활용'도 주목받는 키워드다. 두피·모발관리, 바디케어, 얼굴 피부 관리 등에 오일을 활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젊은 층에서 해당 트렌드가 두드러진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티몰 통계에 따르면 지난 1년간 두피·헤어·바디케어용 오일 판매가 빠르게 증가했으며, 페이스 오일의 경우 판매액이 전년비 37배 이상 늘었다. 특히 식물성 오일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오일을 활용한 아로마 테라피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도 많다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하면서 '롱래스팅 메이크업' 수요도 높은 상태다. 메이크업 고정력을 높여주는 픽싱 미스트의 판매도 증가하고 있다. 티몰은 메이크업 지속력을 높여주는 제품이나 어두운 피부톤을 개선해주는 제품, 아이 메이크업, 수정화장 등의 키워드 검색량이 높았다고 밝혔다. 여섯번 째 트렌드는 '탈모 방지'다. 탈모 고민은 점차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 전체 소비자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젊은 층에서도 스트레스나 야근 등으로 탈모 증세를 호소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다. 중국에서 탈모로 고민하고 있는 인구는 2억 5000만 명 수준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전체 소비자의 6분의 1에 해당한다. 탈모 샴푸는 물론 두피 영양제, 탈모 방지 에센스 등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두피 케어를 페이스 케어처럼 하는 소비자 비율도 증가하는 추세다. 마지막은 '두피 볼륨'과 '유분 콘트롤'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볼륨이 풍성하게 들어간 헤어스타일이 유행 중인데, 이러한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두피와 모발의 유분이 너무 많아도 안 되고, 지나치게 푸석푸석해서도 안 되기 때문이다. 샴푸 전에 두피 오일을 사용해 모낭을 클렌징하고, 샴푸 중에는 팩으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며, 트리트먼트로 모발에 영양공급까지 신경 쓰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속하게 두피나 머리카락의 유분을 제거할 수 있는 파우더나 헤어스프레이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
SNS 활동량이 많은 젊은 층은 소비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서도 최근 2000년 이후 태생인 젊은 소비자들이 뷰티 트렌드를 이끌어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티몰(Tmall) FMCG(소비재 부문)와 글로벌 시장조사 및 컨설팅 기업인 입소스(Ipsos)는 주요 FMCG 카테고리에 대한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뷰티 산업이 7가지 트렌드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소비자를 공략하기 위해서는 트렌드 파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는 '안티에이징' 이다. 보고서는 올해 티몰 618 쇼핑축제에서 안티에이징 키워드 검색량이 전년비 5배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주름 완화 제품은 판매액이 전년비 675% 증가했다. 밀레니얼 세대도 항노화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00년 이후 소비자의 안티에이징 검색량은 전년비 3배 증가했고, 특히 눈가 관리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세대의 항노화 전략이 '수비형'이었다면, 젊은 세대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밀레니얼 소비자들은 유효성분을 통한 효율적 스킨케어로 공격형 안티에이징을 선호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두 번째로는 '복합 기능의 자외선차단제'가 언급됐다. 자외선 차단제는 노화 방지를 위해서도 필수적인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안티 에이징 효과가 있는 기능성 자외선 차단제가 더욱 인기를 얻고 있다. 미백이나 톤업, 기미 제거, 영양소 공급, 블루라이트 차단 등 자외선 차단 외 추가 기능을 강조하는 것이 신규로 출시되는 자외선 차단제의 트렌드가 되었다는 설명이다.
세 번째는 '항알레르기'다. 보고서는 코로나19 등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과 스트레스, 환경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알레르기 방지 제품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에센스·크림·로션·마스크팩 등 다양한 제품이 항알레르기를 표방하고 출시돼 많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다.
'오일 활용'도 주목받는 키워드다. 두피·모발관리, 바디케어, 얼굴 피부 관리 등에 오일을 활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젊은 층에서 해당 트렌드가 두드러진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티몰 통계에 따르면 지난 1년간 두피·헤어·바디케어용 오일 판매가 빠르게 증가했으며, 페이스 오일의 경우 판매액이 전년비 37배 이상 늘었다. 특히 식물성 오일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오일을 활용한 아로마 테라피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도 많다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하면서 '롱래스팅 메이크업' 수요도 높은 상태다. 메이크업 고정력을 높여주는 픽싱 미스트의 판매도 증가하고 있다. 티몰은 메이크업 지속력을 높여주는 제품이나 어두운 피부톤을 개선해주는 제품, 아이 메이크업, 수정화장 등의 키워드 검색량이 높았다고 밝혔다.
여섯번 째 트렌드는 '탈모 방지'다. 탈모 고민은 점차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 전체 소비자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젊은 층에서도 스트레스나 야근 등으로 탈모 증세를 호소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다. 중국에서 탈모로 고민하고 있는 인구는 2억 5000만 명 수준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전체 소비자의 6분의 1에 해당한다. 탈모 샴푸는 물론 두피 영양제, 탈모 방지 에센스 등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두피 케어를 페이스 케어처럼 하는 소비자 비율도 증가하는 추세다.
마지막은 '두피 볼륨'과 '유분 콘트롤'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볼륨이 풍성하게 들어간 헤어스타일이 유행 중인데, 이러한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두피와 모발의 유분이 너무 많아도 안 되고, 지나치게 푸석푸석해서도 안 되기 때문이다. 샴푸 전에 두피 오일을 사용해 모낭을 클렌징하고, 샴푸 중에는 팩으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며, 트리트먼트로 모발에 영양공급까지 신경 쓰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속하게 두피나 머리카락의 유분을 제거할 수 있는 파우더나 헤어스프레이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티몰(Tmall) FMCG(소비재 부문)와 글로벌 시장조사 및 컨설팅 기업인 입소스(Ipsos)는 주요 FMCG 카테고리에 대한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뷰티 산업이 7가지 트렌드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소비자를 공략하기 위해서는 트렌드 파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는 '안티에이징' 이다. 보고서는 올해 티몰 618 쇼핑축제에서 안티에이징 키워드 검색량이 전년비 5배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주름 완화 제품은 판매액이 전년비 675% 증가했다. 밀레니얼 세대도 항노화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00년 이후 소비자의 안티에이징 검색량은 전년비 3배 증가했고, 특히 눈가 관리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세대의 항노화 전략이 '수비형'이었다면, 젊은 세대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밀레니얼 소비자들은 유효성분을 통한 효율적 스킨케어로 공격형 안티에이징을 선호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두 번째로는 '복합 기능의 자외선차단제'가 언급됐다. 자외선 차단제는 노화 방지를 위해서도 필수적인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안티 에이징 효과가 있는 기능성 자외선 차단제가 더욱 인기를 얻고 있다. 미백이나 톤업, 기미 제거, 영양소 공급, 블루라이트 차단 등 자외선 차단 외 추가 기능을 강조하는 것이 신규로 출시되는 자외선 차단제의 트렌드가 되었다는 설명이다.
세 번째는 '항알레르기'다. 보고서는 코로나19 등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과 스트레스, 환경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알레르기 방지 제품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에센스·크림·로션·마스크팩 등 다양한 제품이 항알레르기를 표방하고 출시돼 많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다.
'오일 활용'도 주목받는 키워드다. 두피·모발관리, 바디케어, 얼굴 피부 관리 등에 오일을 활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젊은 층에서 해당 트렌드가 두드러진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티몰 통계에 따르면 지난 1년간 두피·헤어·바디케어용 오일 판매가 빠르게 증가했으며, 페이스 오일의 경우 판매액이 전년비 37배 이상 늘었다. 특히 식물성 오일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오일을 활용한 아로마 테라피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도 많다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하면서 '롱래스팅 메이크업' 수요도 높은 상태다. 메이크업 고정력을 높여주는 픽싱 미스트의 판매도 증가하고 있다. 티몰은 메이크업 지속력을 높여주는 제품이나 어두운 피부톤을 개선해주는 제품, 아이 메이크업, 수정화장 등의 키워드 검색량이 높았다고 밝혔다.
여섯번 째 트렌드는 '탈모 방지'다. 탈모 고민은 점차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 전체 소비자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젊은 층에서도 스트레스나 야근 등으로 탈모 증세를 호소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다. 중국에서 탈모로 고민하고 있는 인구는 2억 5000만 명 수준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전체 소비자의 6분의 1에 해당한다. 탈모 샴푸는 물론 두피 영양제, 탈모 방지 에센스 등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두피 케어를 페이스 케어처럼 하는 소비자 비율도 증가하는 추세다.
마지막은 '두피 볼륨'과 '유분 콘트롤'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볼륨이 풍성하게 들어간 헤어스타일이 유행 중인데, 이러한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두피와 모발의 유분이 너무 많아도 안 되고, 지나치게 푸석푸석해서도 안 되기 때문이다. 샴푸 전에 두피 오일을 사용해 모낭을 클렌징하고, 샴푸 중에는 팩으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며, 트리트먼트로 모발에 영양공급까지 신경 쓰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속하게 두피나 머리카락의 유분을 제거할 수 있는 파우더나 헤어스프레이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