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들에게 비건은 하나의 문화이자 일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MZ세대를 중심으로 멋진 사람의 한 기준으로 비건이 인식되기 시작했고, 환경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트렌드세터가 될 수 있다 보니 이제 비거니즘은 거스를 수 없는 하나의 건강한 트렌드가 된 것이다. 이 같은 환경에 대한 관심은 올해에도 계속해서 이어지며, 비거니즘의 유행이 지속될 전망이다. 비건 화장품은 제조·가공 단계에서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을 말한다. 유해 의심 성분 배제를 기준으로 하는 ‘클린뷰티’가 화장품의 안전성에 일차적 기준을 뒀다면, '비건'은 성분을 넘어 윤리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브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세게 비건뷰티 시장은 2018년 129억 달러(약 14조 원)에서 연평균 6.3%씩 성장해 오는 2025년엔 208억 달러(약 23조 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비건 시장 규모도 MZ세대를 중심으로 비건 수요가 늘어나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비건 제품은 대체로 비누나,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공급되고 소비돼왔다. 그런데 올해는 비건 제품이 기초에서 색조로 영역을 더욱 넓혀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소비자에게 영향력이 큰 올리브영이 올해 화장품 시장을 관통한 새로운 전략 키워드로 '비건뷰티'를 선택하고, 시장 확대에 나선다고 밝히며 비건뷰티 카테고리 자체가 더욱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비건 화장품은 색조 시장의 차세대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브랜드 철학이나 윤리성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이왕이면 색조에서도 건강하고 착한 화장품을 찾는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올리브영이 가장 먼저 집중하는 카테고리는 색조다. 한국 비건인증원과 영국 비건협회, 프랑스 비건협회 등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으로부터 비건 인증을 받은 제품을 한데 모아 올리브영 비건뷰티 브랜드로 선정했다. 기관별로 다르게 부여하는 인증 마크를 하나로 통합한 '올리브영 비건뷰티' 아이콘을 부여해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브랜드와 상품을 소개하고 고객이 쉽게 경험하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일차적으로 선정된 브랜드는 △어뮤즈 △클리오 비건웨어 △디어달리아 △스킨푸드 △언리시아 △잉글롯 △딘토 등이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복잡하고 실천하기 어렵다는 기존 비건에 대한 인식을 깨고 나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비건뷰티를 소개하고 이를 색조 시장의 돌파구로 적극 육성할 계획”이라며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소비를 시장에 안착시켜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겠다”고 전했다. 꾸준히 세력 키워온 '비건 색조' 국내 시장에서 비건 색조는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2017년 국내 첫 비건 색조 브랜드로 론칭한 디어달리아는 계속해서 색조 비건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나아가 해외에서도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디어달리아 관계자는 "비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지금과 같지 않았던 당시부터 동물 실험과 동물성 원료 사용 없이도 고기능성의 메이크업 제품을 선보일 수 있음을 알리고자 노력해왔다"며 "이번에 올리브영이 전개하는 비건 뷰티 캠페인에도 참여해 비건 색조를 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제품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섀도와 블러셔에 재생 플라스틱을 활용하고, FSC 인증 친환경 지류와 소이 잉크 인쇄로 제작된 단상자로 지속가능성에도 집중하고 있다. 디어달리아는 지난 2018년 아모레퍼시픽그룹이 투자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쿼드자산운용, LB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 한국콜마 등으로부터 165억 원의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누적 투자금액은 425억 원이다. 국내 대표 화장품 기업 LG생활건강도 비건 색조 제품으로 색조 시장에 눈도장 찍으며 비건 시장에 제품 라인을 확대하고 있다. LG생건은 최근 fmgt의 비건 파운데이션 ‘더 잉크 파운데이션 울트라핏’을 출시했다. 앞서 지난해 8월에는 빌리프와 메이크업 전문 VDL 협업으로 '빌리프 X VDL 비건 메이크업' 라인을 선보였다. 멀티 컬러 리퀴드와 프라이머·스틱 파운데이션 3종이었던 빌리프 X VDL 비건 메이크업 라인은 이후 11월 립 앤 아이 메이크업과 클렌징 제품·아이섀도우 팔레트·아이라이너·브로우 펜슬·틴트 등을 추가 구성하며 라인업을 확장시켰다. 이 같은 색조 브랜드는 MZ세대 호응 속에서 매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의 ESG 경영 확산과 더불어 비건 화장품은 친환경·동물보호·가치소비 등과 맞물려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MZ세대를 중심으로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비건화장품은 점차 더욱 친숙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가격과 관련해 비건 제품이면 무조건 비싸다고 인지하는 소비자분들이 있는데, 비건 제품이라고해서 무조건 비싼 건 아니다"라며 "브랜드 측에서 인증 비용이 들긴 하지만 가격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라는 말도 덧붙였다. |
MZ세대들에게 비건은 하나의 문화이자 일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MZ세대를 중심으로 멋진 사람의 한 기준으로 비건이 인식되기 시작했고, 환경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트렌드세터가 될 수 있다 보니 이제 비거니즘은 거스를 수 없는 하나의 건강한 트렌드가 된 것이다. 이 같은 환경에 대한 관심은 올해에도 계속해서 이어지며, 비거니즘의 유행이 지속될 전망이다.
비건 화장품은 제조·가공 단계에서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을 말한다. 유해 의심 성분 배제를 기준으로 하는 ‘클린뷰티’가 화장품의 안전성에 일차적 기준을 뒀다면, '비건'은 성분을 넘어 윤리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브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세게 비건뷰티 시장은 2018년 129억 달러(약 14조 원)에서 연평균 6.3%씩 성장해 오는 2025년엔 208억 달러(약 23조 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비건 시장 규모도 MZ세대를 중심으로 비건 수요가 늘어나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비건 제품은 대체로 비누나,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공급되고 소비돼왔다. 그런데 올해는 비건 제품이 기초에서 색조로 영역을 더욱 넓혀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소비자에게 영향력이 큰 올리브영이 올해 화장품 시장을 관통한 새로운 전략 키워드로 '비건뷰티'를 선택하고, 시장 확대에 나선다고 밝히며 비건뷰티 카테고리 자체가 더욱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비건 화장품은 색조 시장의 차세대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브랜드 철학이나 윤리성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이왕이면 색조에서도 건강하고 착한 화장품을 찾는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올리브영이 가장 먼저 집중하는 카테고리는 색조다.
한국 비건인증원과 영국 비건협회, 프랑스 비건협회 등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으로부터 비건 인증을 받은 제품을 한데 모아 올리브영 비건뷰티 브랜드로 선정했다. 기관별로 다르게 부여하는 인증 마크를 하나로 통합한 '올리브영 비건뷰티' 아이콘을 부여해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브랜드와 상품을 소개하고 고객이 쉽게 경험하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일차적으로 선정된 브랜드는 △어뮤즈 △클리오 비건웨어 △디어달리아 △스킨푸드 △언리시아 △잉글롯 △딘토 등이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복잡하고 실천하기 어렵다는 기존 비건에 대한 인식을 깨고 나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비건뷰티를 소개하고 이를 색조 시장의 돌파구로 적극 육성할 계획”이라며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소비를 시장에 안착시켜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겠다”고 전했다.
꾸준히 세력 키워온 '비건 색조'
국내 시장에서 비건 색조는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2017년 국내 첫 비건 색조 브랜드로 론칭한 디어달리아는 계속해서 색조 비건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나아가 해외에서도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디어달리아 관계자는 "비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지금과 같지 않았던 당시부터 동물 실험과 동물성 원료 사용 없이도 고기능성의 메이크업 제품을 선보일 수 있음을 알리고자 노력해왔다"며 "이번에 올리브영이 전개하는 비건 뷰티 캠페인에도 참여해 비건 색조를 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제품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섀도와 블러셔에 재생 플라스틱을 활용하고, FSC 인증 친환경 지류와 소이 잉크 인쇄로 제작된 단상자로 지속가능성에도 집중하고 있다.
디어달리아는 지난 2018년 아모레퍼시픽그룹이 투자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쿼드자산운용, LB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 한국콜마 등으로부터 165억 원의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누적 투자금액은 425억 원이다.
국내 대표 화장품 기업 LG생활건강도 비건 색조 제품으로 색조 시장에 눈도장 찍으며 비건 시장에 제품 라인을 확대하고 있다. LG생건은 최근 fmgt의 비건 파운데이션 ‘더 잉크 파운데이션 울트라핏’을 출시했다. 앞서 지난해 8월에는 빌리프와 메이크업 전문 VDL 협업으로 '빌리프 X VDL 비건 메이크업' 라인을 선보였다. 멀티 컬러 리퀴드와 프라이머·스틱 파운데이션 3종이었던 빌리프 X VDL 비건 메이크업 라인은 이후 11월 립 앤 아이 메이크업과 클렌징 제품·아이섀도우 팔레트·아이라이너·브로우 펜슬·틴트 등을 추가 구성하며 라인업을 확장시켰다.
이 같은 색조 브랜드는 MZ세대 호응 속에서 매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의 ESG 경영 확산과 더불어 비건 화장품은 친환경·동물보호·가치소비 등과 맞물려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MZ세대를 중심으로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비건화장품은 점차 더욱 친숙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가격과 관련해 비건 제품이면 무조건 비싸다고 인지하는 소비자분들이 있는데, 비건 제품이라고해서 무조건 비싼 건 아니다"라며 "브랜드 측에서 인증 비용이 들긴 하지만 가격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라는 말도 덧붙였다.
비건 화장품은 제조·가공 단계에서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을 말한다. 유해 의심 성분 배제를 기준으로 하는 ‘클린뷰티’가 화장품의 안전성에 일차적 기준을 뒀다면, '비건'은 성분을 넘어 윤리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브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세게 비건뷰티 시장은 2018년 129억 달러(약 14조 원)에서 연평균 6.3%씩 성장해 오는 2025년엔 208억 달러(약 23조 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비건 시장 규모도 MZ세대를 중심으로 비건 수요가 늘어나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비건 제품은 대체로 비누나,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공급되고 소비돼왔다. 그런데 올해는 비건 제품이 기초에서 색조로 영역을 더욱 넓혀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소비자에게 영향력이 큰 올리브영이 올해 화장품 시장을 관통한 새로운 전략 키워드로 '비건뷰티'를 선택하고, 시장 확대에 나선다고 밝히며 비건뷰티 카테고리 자체가 더욱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비건 화장품은 색조 시장의 차세대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브랜드 철학이나 윤리성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이왕이면 색조에서도 건강하고 착한 화장품을 찾는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올리브영이 가장 먼저 집중하는 카테고리는 색조다.
한국 비건인증원과 영국 비건협회, 프랑스 비건협회 등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으로부터 비건 인증을 받은 제품을 한데 모아 올리브영 비건뷰티 브랜드로 선정했다. 기관별로 다르게 부여하는 인증 마크를 하나로 통합한 '올리브영 비건뷰티' 아이콘을 부여해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브랜드와 상품을 소개하고 고객이 쉽게 경험하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일차적으로 선정된 브랜드는 △어뮤즈 △클리오 비건웨어 △디어달리아 △스킨푸드 △언리시아 △잉글롯 △딘토 등이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복잡하고 실천하기 어렵다는 기존 비건에 대한 인식을 깨고 나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비건뷰티를 소개하고 이를 색조 시장의 돌파구로 적극 육성할 계획”이라며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소비를 시장에 안착시켜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겠다”고 전했다.
꾸준히 세력 키워온 '비건 색조'
국내 시장에서 비건 색조는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2017년 국내 첫 비건 색조 브랜드로 론칭한 디어달리아는 계속해서 색조 비건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나아가 해외에서도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디어달리아 관계자는 "비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지금과 같지 않았던 당시부터 동물 실험과 동물성 원료 사용 없이도 고기능성의 메이크업 제품을 선보일 수 있음을 알리고자 노력해왔다"며 "이번에 올리브영이 전개하는 비건 뷰티 캠페인에도 참여해 비건 색조를 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제품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섀도와 블러셔에 재생 플라스틱을 활용하고, FSC 인증 친환경 지류와 소이 잉크 인쇄로 제작된 단상자로 지속가능성에도 집중하고 있다.
디어달리아는 지난 2018년 아모레퍼시픽그룹이 투자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쿼드자산운용, LB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 한국콜마 등으로부터 165억 원의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누적 투자금액은 425억 원이다.
국내 대표 화장품 기업 LG생활건강도 비건 색조 제품으로 색조 시장에 눈도장 찍으며 비건 시장에 제품 라인을 확대하고 있다. LG생건은 최근 fmgt의 비건 파운데이션 ‘더 잉크 파운데이션 울트라핏’을 출시했다. 앞서 지난해 8월에는 빌리프와 메이크업 전문 VDL 협업으로 '빌리프 X VDL 비건 메이크업' 라인을 선보였다. 멀티 컬러 리퀴드와 프라이머·스틱 파운데이션 3종이었던 빌리프 X VDL 비건 메이크업 라인은 이후 11월 립 앤 아이 메이크업과 클렌징 제품·아이섀도우 팔레트·아이라이너·브로우 펜슬·틴트 등을 추가 구성하며 라인업을 확장시켰다.
이 같은 색조 브랜드는 MZ세대 호응 속에서 매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의 ESG 경영 확산과 더불어 비건 화장품은 친환경·동물보호·가치소비 등과 맞물려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MZ세대를 중심으로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비건화장품은 점차 더욱 친숙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가격과 관련해 비건 제품이면 무조건 비싸다고 인지하는 소비자분들이 있는데, 비건 제품이라고해서 무조건 비싼 건 아니다"라며 "브랜드 측에서 인증 비용이 들긴 하지만 가격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라는 말도 덧붙였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