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프레그런스 마켓-새로운 기회(피프티바이피프티 니콜 폴 대표)=세계적으로 성관계(SEX)가 줄어들면서 향수 시장은 과거처럼 섹스 어필이 통하지 않고 있다. 패션에서도 ‘모더스티(MODESTY, 정숙함)’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즉, 섹스를 연상시키는 브랜드 메시지는 지금 세대에게는 구시대적으로 보이거나 거부감을 불러올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산치 파트너는 제품 카테고리, 브랜드명, 제품명 등으로 핵심 키워드를 설정하는 3단계 전략에 대해 논했다. ■아시아의 헤어케어 트렌드(퍼스널 케어 과학 연구소 칼리 벨린다 소장)=최신 헤어 스타일링 트렌드는 여성의 경우 ‘소프트 웨이브’ ‘옴브레’ ‘볼륨 보브컷’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남성 시장에서는 그루밍족이 급성장함에 따라 ‘소프트 웨이브’ ‘볼륨 파마’ 등이 주목받고 있다.
■2018 봄 & 여름 전망 - 메이크업 컬러 및 텍스쳐(뷰티스트림즈 이채원 마케팅·세일즈 매니저)=뷰티스트림즈가 핵심으로 꼽은 컬러는 ‘Urban Camo’ ‘Spiritual Orange’ ‘80's Couture’ ‘Kawaii Brights’ ‘Fresh Aurora’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Hyperbole’ ‘Palindrome’ ‘Superlative’ 등 3가지 트렌드가 도출됐다. ■한국 스킨케어 최신동향(아모레퍼시픽 배지현 상품전략팀 상무)=2016년 칸타패널(KANTAR Pannel)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2년~2016년) 소비자의 연간 1인당 기초화장품 구매는 15.8개에서 22.4개로 늘었다. 기초 화장 스텝은 줄었지만 선별한 단계를 중심으로 활용 기능폭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화장품 시장에서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의 비율은 7:3이다.
2016~2017년 한국의 10대 스킨케어 트렌드는 △피부 민감성 △주문제작 △디지털 △마스크 △썬 케어 △남성 △화이트닝(브라이트닝) △오일 △필링 △앰플로 나눠볼 수 있다. |
■글로벌 프레그런스 마켓-새로운 기회(피프티바이피프티 니콜 폴 대표)=세계적으로 성관계(SEX)가 줄어들면서 향수 시장은 과거처럼 섹스 어필이 통하지 않고 있다. 패션에서도 ‘모더스티(MODESTY, 정숙함)’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즉, 섹스를 연상시키는 브랜드 메시지는 지금 세대에게는 구시대적으로 보이거나 거부감을 불러올 수 있다.
향수 시장의 ‘모더스티’ 트렌드는 ‘향기 큐레이션(SCENT CURATION)’와 관련된다. 현대인은 비디오게임을 하거나 이동할 때, 직장내 공간에서 편안한 친환경적인 향기를 찾고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다.
또 지역의 특성과 문화에 맞는 제품이 늘고 있는 ‘모던 인디저너스(MODERN INDIGENOUS)’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화장품 브랜드의 검색 엔진 최적화-카라테(KARATE) 접근법(산치 멘디라타 해피마케터 파트너)=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 자사 홈페이지 콘텐츠가 검색 상위 결과에 오를 수 있도록 하는 ‘검색엔진 최적화(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가 주목받고 있다.
카라테란 ‘키워드(Keyword)’ ‘구조(Architecture)’ ‘연계성(Relevance)’ ‘권한(Authority)’ ‘기술(Technical)’ ‘추가 목록(Extra Listings)’의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한 6단계 프로그램을 뜻한다.
이를 바탕으로 산치 파트너는 제품 카테고리, 브랜드명, 제품명 등으로 핵심 키워드를 설정하는 3단계 전략에 대해 논했다.
■아시아의 헤어케어 트렌드(퍼스널 케어 과학 연구소 칼리 벨린다 소장)=최신 헤어 스타일링 트렌드는 여성의 경우 ‘소프트 웨이브’ ‘옴브레’ ‘볼륨 보브컷’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남성 시장에서는 그루밍족이 급성장함에 따라 ‘소프트 웨이브’ ‘볼륨 파마’ 등이 주목받고 있다.
제품 트렌드로는 ‘제주도’ ‘한방’ ‘식물 추출물’ ‘천연원료’ ‘단백질 성분’ 등이 꼽혔다. 특히 트리트먼트, 크림 등으로 불리는 ‘헤어 마스크(Hair Mask)’ 제품의 성공 요인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다가올 헤어 트렌드로는 ‘안티 폴루션’과 ‘물없이 사용할 수 있는(Water-less) 제품’ 등으로 고체형 샴푸, 컨디셔너 등을 소개됐다.
■2018 봄 & 여름 전망 - 메이크업 컬러 및 텍스쳐(뷰티스트림즈 이채원 마케팅·세일즈 매니저)=뷰티스트림즈가 핵심으로 꼽은 컬러는 ‘Urban Camo’ ‘Spiritual Orange’ ‘80's Couture’ ‘Kawaii Brights’ ‘Fresh Aurora’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Hyperbole’ ‘Palindrome’ ‘Superlative’ 등 3가지 트렌드가 도출됐다.
■한국 스킨케어 최신동향(아모레퍼시픽 배지현 상품전략팀 상무)=2016년 칸타패널(KANTAR Pannel)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2년~2016년) 소비자의 연간 1인당 기초화장품 구매는 15.8개에서 22.4개로 늘었다. 기초 화장 스텝은 줄었지만 선별한 단계를 중심으로 활용 기능폭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화장품 시장에서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의 비율은 7:3이다.
최근 국내 화장품 유통시장을 보면, 방판채널과 백화점 등 기존 유통 채널은 하락세이거나 저성장 셀르 보이면서 고가의 럭셔리 스킨케어는 감소하고 있다. 반면 온·오프라인 병행 쇼핑몰 등 온라인채널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또 외국인 관광객 감소와 시내 면세점이 늘면서 면세점 채널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2016~2017년 한국의 10대 스킨케어 트렌드는 △피부 민감성 △주문제작 △디지털 △마스크 △썬 케어 △남성 △화이트닝(브라이트닝) △오일 △필링 △앰플로 나눠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