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패키징에 포함되어 있는 프탈레이트 성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시나브로 고조됨에 따라 대체 패키징 솔루션의 중요성에 갈수록 무게가 실리고 있다. 환경단체들이 프탈레이트 성분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험성을 거듭 강조하고 나서기에 이르면서 플라스틱 패키징 사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영국 런던에 글로벌 본사를 둔 비즈니스 정보 서비스‧컨설팅기관 글로벌데이터(GlobalData)는 19일 지난해 4/4분기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예를 들면 설문조사 응답자들의 47%가 플라스틱 패키징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대단히” 또는 “상당정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플라스틱 패키징에 사용되는 프탈레이트 성분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이 화학물질들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험성이 강조되기에 이른 추세이다. 글로벌 환경운동단체들인 어스저스티스(Earthjustice)와 환경보호기금(Environmental Defense Fund)이 FDA를 상대로 법적 조치를 강구하고 나선 것은 이 같은 추세를 방증하는 것이라고 글로벌데이터는 설명했다. 플라스틱 패키징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험성과 관련, 글로벌데이터는 제품에 사용된 색소, 향미료 및 방향성(芳香性) 물질들이 체내에 흡수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글로벌데이터의 크리스 로우랜드 패키징 담당 애널리스트는 “유럽연합(EU)이 식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일부 프탈레이트 성분들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규제하기에 이른 가운데 영국과 캐나다 등에서도 같은 조치를 채택했다”고 환기시켰다. 같은 맥락에서 일용소비재(FMCG) 기업들이 종이 또는 천연물 소재를 포함해 혁신적인 대안들을 앞다퉈 탐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우랜드 애널리스트는 “이 같은 움직임이 처음에는 불가피하게 비용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플라스틱 패키징의 건강 위험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고조되고 있는 데다 지속가능한 패키징 솔루션을 선호하는 추세의 부각, 세계 각국의 플라스틱 패키징 사용 규제 강화와 맞물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추세에 동승하지 않을 경우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데 핸디캡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농후해 보인다는 것이다. 로우랜드 애널리스트는 뒤이어 “건강을 걱정하고 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소비자들일수록 플라스틱 패키징을 대체할 솔루션에 대해 열린 마인드를 내보이고 있다”며 “소비재 기업들이 무(無) 프탈레이트 제품들을 공급하면서 소비자들의 우려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무 프탈레이트 패키징 퍼스널케어 제품들과 관련, 글로벌데이터는 비누에서부터 화장품, 스킨케어 제품 등에 이르기까지 프탈레이트의 사용을 배제한 패키징을 채택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주목했다. 무 프탈레이트 패키징 제품들을 공급하고 있는 대표적인 브랜드들로 글로벌데이터는 ‘에코버’((Ecover), ‘마이퓨어’(MyPure) 및 ‘내추럴 뷰티’(Natural Beauty)를 열거했다. 글로벌데이터는 대체 패키징이 다양성과 대중적인 인기 측면에서 동반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면서 최근의 추이를 상기시켰다. 보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대안들이 프탈레이트를 포함한 플라스택 패키징을 대체할 수 있으리라는 잠재적 가능성에 갈수록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글로벌데이터는 버섯 패키징에 버섯 균사체를 사용해 농산물 폐기물을 생분해성 패키징 소재로 적용한 사례를 언급했다. 이 방법은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는 데다 상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측면에서도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해조류가 생분해성 뿐 아니라 유해한 잔류물질을 남기지 않으면서 분해될 수 있다는 장점으로 패키징업계로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글로벌데이터는 덧붙였다. 로우랜드 애널리스트는 “건강과 환경 측면에서 플라스틱 패키징과 관련해서 고조되고 있는 우려감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면서 “이 같은 이슈들에 대응할 수 있으려면 소비자와 기업, 규제당국 등이 집약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개별 브랜드들의 경우 종이 기반 패키징이나 기타 대체소재들을 채택해 소비자들의 취향에 부응하고, 규제 기준과도 눈높이를 맞추면서 건강, 웰빙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헌신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
플라스틱 패키징에 포함되어 있는 프탈레이트 성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시나브로 고조됨에 따라 대체 패키징 솔루션의 중요성에 갈수록 무게가 실리고 있다.
환경단체들이 프탈레이트 성분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험성을 거듭 강조하고 나서기에 이르면서 플라스틱 패키징 사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영국 런던에 글로벌 본사를 둔 비즈니스 정보 서비스‧컨설팅기관 글로벌데이터(GlobalData)는 19일 지난해 4/4분기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예를 들면 설문조사 응답자들의 47%가 플라스틱 패키징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대단히” 또는 “상당정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플라스틱 패키징에 사용되는 프탈레이트 성분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이 화학물질들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험성이 강조되기에 이른 추세이다.
글로벌 환경운동단체들인 어스저스티스(Earthjustice)와 환경보호기금(Environmental Defense Fund)이 FDA를 상대로 법적 조치를 강구하고 나선 것은 이 같은 추세를 방증하는 것이라고 글로벌데이터는 설명했다.
플라스틱 패키징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험성과 관련, 글로벌데이터는 제품에 사용된 색소, 향미료 및 방향성(芳香性) 물질들이 체내에 흡수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글로벌데이터의 크리스 로우랜드 패키징 담당 애널리스트는 “유럽연합(EU)이 식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일부 프탈레이트 성분들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규제하기에 이른 가운데 영국과 캐나다 등에서도 같은 조치를 채택했다”고 환기시켰다.
같은 맥락에서 일용소비재(FMCG) 기업들이 종이 또는 천연물 소재를 포함해 혁신적인 대안들을 앞다퉈 탐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우랜드 애널리스트는 “이 같은 움직임이 처음에는 불가피하게 비용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플라스틱 패키징의 건강 위험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고조되고 있는 데다 지속가능한 패키징 솔루션을 선호하는 추세의 부각, 세계 각국의 플라스틱 패키징 사용 규제 강화와 맞물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추세에 동승하지 않을 경우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데 핸디캡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농후해 보인다는 것이다.
로우랜드 애널리스트는 뒤이어 “건강을 걱정하고 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소비자들일수록 플라스틱 패키징을 대체할 솔루션에 대해 열린 마인드를 내보이고 있다”며 “소비재 기업들이 무(無) 프탈레이트 제품들을 공급하면서 소비자들의 우려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무 프탈레이트 패키징 퍼스널케어 제품들과 관련, 글로벌데이터는 비누에서부터 화장품, 스킨케어 제품 등에 이르기까지 프탈레이트의 사용을 배제한 패키징을 채택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주목했다.
무 프탈레이트 패키징 제품들을 공급하고 있는 대표적인 브랜드들로 글로벌데이터는 ‘에코버’((Ecover), ‘마이퓨어’(MyPure) 및 ‘내추럴 뷰티’(Natural Beauty)를 열거했다.
글로벌데이터는 대체 패키징이 다양성과 대중적인 인기 측면에서 동반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면서 최근의 추이를 상기시켰다.
보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대안들이 프탈레이트를 포함한 플라스택 패키징을 대체할 수 있으리라는 잠재적 가능성에 갈수록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글로벌데이터는 버섯 패키징에 버섯 균사체를 사용해 농산물 폐기물을 생분해성 패키징 소재로 적용한 사례를 언급했다.
이 방법은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는 데다 상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측면에서도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해조류가 생분해성 뿐 아니라 유해한 잔류물질을 남기지 않으면서 분해될 수 있다는 장점으로 패키징업계로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글로벌데이터는 덧붙였다.
로우랜드 애널리스트는 “건강과 환경 측면에서 플라스틱 패키징과 관련해서 고조되고 있는 우려감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면서 “이 같은 이슈들에 대응할 수 있으려면 소비자와 기업, 규제당국 등이 집약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개별 브랜드들의 경우 종이 기반 패키징이나 기타 대체소재들을 채택해 소비자들의 취향에 부응하고, 규제 기준과도 눈높이를 맞추면서 건강, 웰빙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헌신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