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 플랫폼의 특성에 따라 트렌드 및 인기 제품 키워드도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제품 소싱이나 마케팅 전략을 짤 때도 판매하려는 플랫폼과 주요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 2024년 2분기 기준, 미국 세포라에선 매트한 질감의 제품들이 크게 주목 받은 반면, 아마존에선 수분감과 광택감이 모두 뛰어난 젤리 질감의 제품이 인기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트렌드 분석 플랫폼 트렌디어(Trendier)가 최근 발표한 데이터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미국 세포라에선 #매트(matte)한 #진흙(clay)질감과 #누드톤컬러의 립 제품 키워드가 포인트가 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가 소개한 랭킹 급상승 제품은 '웨스트맨 아뜰리에(Westman Atelier)'의 'Lip Suede Hydrating Matte Lipstick with Hyaluronic Acid'로, 전분기 대비 14계단 상승하며 2분기 세포라 최고 랭킹 19위를 기록했다. 매트한 마무리감을 지닌 비건 립컬러 제품이다. 세포라 마케팅 키워드로는 #수분(moisture) #비건(vegan) #블러쉬(blush) #플럼핑(plumping) #스틱(stick) #매트(matte) 등이 많이 활용됐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립 메이크업 제품 성분으로는 #히알루론산(hyakuronic acid) #펩타이드(peptide) #비타민C 등이 언급됐다. ![]() 제품 출시 측면에선 '안티에이징'을 겨냥한 브랜드가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세포라의 2분기 립 메이크업 마케팅 키워드 중 전 분기 대비 언급 제품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것은 34.38%의 #노화(aging)였다. 2위 #건강한(healthy)의 8.57% 보다 월등히 높아 노화 관리에 대한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짐작할 수 있게 했다. #향상된(enhance)과 #수월한(effortless), #상징적인(iconic) 등과 관련된 제품도 각각 8.33%, 6.67%, 6.25%로 증가율이 높았다. 반면 #옥시벤존(oxybenzone), #묻어남 없는(transfer resistant), #설페이트 (sulfates) 등은 관련 제품이 감소했다. 인체에 유해한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배경지식이 풍부해지면서 제품 출시에도 이런 내용들이 반영되고 있다. ![]() 아마존에선 반대로 수분감과 광택감이 넘치는 제품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2분기 미국 아마존의 립메이크업 제품 마케팅 키워드를 살펴보면, #젤리(jelly) 키워드 관련 제품 증가율이 300%로 가장 높았다. #in place도 약 300% 상승했으며, #리프레싱(refreshing), #탄력있는(elastic), #항산화(antioxidant) 등의 키워드를 포함한 제품도 각 257.14%, 159.09%, 140% 증가했다. 원료 중에는 #아보카도 오일(140%) #알로에 베라(100%), #비타민(86.21%)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고 있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85.71%) 등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분기 아마존 베스트 키워드인 '젤리'와 관련해 급상승을 기록한 키워드는 #핑크 #워터컬러 #쉬어(sheer) #포피핑크(Poppy pink) #레드 등이 있다. 랭킹 급상승 제품으로는 브랜드 'Milk Makeup'의 'Cooling Water Jelly Tint, Burst (Poppy Pink)'이 소개됐다. 보고서는 이 제품의 대표 마케팅 키워드로는 #젤리 #쿨링 #가벼움(weightless) #바운시(bouncy) #볼(cheek) #비건 등이 주로 활용됐다고 분석했다. |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제대로 읽어내기 위해선 시장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기본이 된다. 화장품신문은 트렌디어와 함께 데이터를 분석, 뷰티 트렌드 예측에 나선다. 트렌디어는 인공지능(AI) 기반의 헬스&뷰티 트렌드 분석 플랫폼으로, 국내외 이커머스 채널에서 판매되는 10억 개 이상의 상품 정보를 수집해 뷰티 트렌드 및 히트상품 분석은 물론 제조사 정보까지 제공하는 시장 보고서를 발행하고 있다. <편집자주> |
뷰티 플랫폼의 특성에 따라 트렌드 및 인기 제품 키워드도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제품 소싱이나 마케팅 전략을 짤 때도 판매하려는 플랫폼과 주요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 2024년 2분기 기준, 미국 세포라에선 매트한 질감의 제품들이 크게 주목 받은 반면, 아마존에선 수분감과 광택감이 모두 뛰어난 젤리 질감의 제품이 인기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트렌드 분석 플랫폼 트렌디어(Trendier)가 최근 발표한 데이터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미국 세포라에선 #매트(matte)한 #진흙(clay)질감과 #누드톤컬러의 립 제품 키워드가 포인트가 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가 소개한 랭킹 급상승 제품은 '웨스트맨 아뜰리에(Westman Atelier)'의 'Lip Suede Hydrating Matte Lipstick with Hyaluronic Acid'로, 전분기 대비 14계단 상승하며 2분기 세포라 최고 랭킹 19위를 기록했다. 매트한 마무리감을 지닌 비건 립컬러 제품이다.
세포라 마케팅 키워드로는 #수분(moisture) #비건(vegan) #블러쉬(blush) #플럼핑(plumping) #스틱(stick) #매트(matte) 등이 많이 활용됐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립 메이크업 제품 성분으로는 #히알루론산(hyakuronic acid) #펩타이드(peptide) #비타민C 등이 언급됐다.

제품 출시 측면에선 '안티에이징'을 겨냥한 브랜드가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세포라의 2분기 립 메이크업 마케팅 키워드 중 전 분기 대비 언급 제품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것은 34.38%의 #노화(aging)였다. 2위 #건강한(healthy)의 8.57% 보다 월등히 높아 노화 관리에 대한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짐작할 수 있게 했다.
#향상된(enhance)과 #수월한(effortless), #상징적인(iconic) 등과 관련된 제품도 각각 8.33%, 6.67%, 6.25%로 증가율이 높았다. 반면 #옥시벤존(oxybenzone), #묻어남 없는(transfer resistant), #설페이트 (sulfates) 등은 관련 제품이 감소했다. 인체에 유해한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배경지식이 풍부해지면서 제품 출시에도 이런 내용들이 반영되고 있다.

아마존에선 반대로 수분감과 광택감이 넘치는 제품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2분기 미국 아마존의 립메이크업 제품 마케팅 키워드를 살펴보면, #젤리(jelly) 키워드 관련 제품 증가율이 300%로 가장 높았다. #in place도 약 300% 상승했으며, #리프레싱(refreshing), #탄력있는(elastic), #항산화(antioxidant) 등의 키워드를 포함한 제품도 각 257.14%, 159.09%, 140% 증가했다.
원료 중에는 #아보카도 오일(140%) #알로에 베라(100%), #비타민(86.21%)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고 있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85.71%) 등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분기 아마존 베스트 키워드인 '젤리'와 관련해 급상승을 기록한 키워드는 #핑크 #워터컬러 #쉬어(sheer) #포피핑크(Poppy pink) #레드 등이 있다. 랭킹 급상승 제품으로는 브랜드 'Milk Makeup'의 'Cooling Water Jelly Tint, Burst (Poppy Pink)'이 소개됐다. 보고서는 이 제품의 대표 마케팅 키워드로는 #젤리 #쿨링 #가벼움(weightless) #바운시(bouncy) #볼(cheek) #비건 등이 주로 활용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