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아이콘 > 뉴스 > 전체
2분기 아마존 'Top25'에 코스알엑스·바이오던스·아누아 랭크 메이크업 카테고리엔 티르티르 쿠션 키트 Top 10 진입
박수연 기자 | waterkite@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4-07-23 06:00 수정 2024-07-23 06:00

코스알엑스의 '달팽이 에센스'와 바이오던스의 '콜라겐 마스크팩', 아누아의 '어성초 클렌징오일'이 2분기 아마존 뷰티 카테고리의 베스트셀러 제품으로 꼽혔다.

22일 미국 마케팅 기업 마켓디펜스(MarketDefense)와 뷰티 매체 뷰티매터(BeaytyMatter)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아마존 뷰티&퍼스널케어 카테고리 상위 25개 제품 중 총 3개의 K-뷰티 브랜드가  이름을 올렸다.

미국 마케팅 기업 마켓디펜스(MarketDefense)와 뷰티 매체 뷰티매터(BeaytyMatter)는 지난 2분기 아마존 뷰티&퍼스널케어 카테고리 상위 25개 제품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뷰티&퍼스널케어 카테고리 통합 차트에 총 3개의 K-뷰티 브랜드가 그 이름을 올렸다. ⓒMarketDefense, BeautyMatter

'스네일 뮤신 96% 파워 리페어링 에센스'(이하 '스네일 에센스')는 3위,   바이오던스 바이오 콜라겐 리얼 딥 마스크'(이하 '콜라겐 마스크')는 10위, 아누아 '하트리프 포어 컨트롤 클렌징오일'(이하 '어성초 클렌징오일')은 은 25위를 차지했다.

코스알엑스의 스네일 에센스는 지난해 1분기부터 6분기 연속으로 상위 25위 안에 들었다. 2023년 1분기 20위, 2분기 2위, 3~4분기 1위, 올해 1분기 4위를 거쳐 2분기엔 3위에 안착했다. 리뷰 수는 9만2180개, 평점은 4.5다.

이 제품은 지난 16~17일(현지시간) 진행한 아마존 프라임 데이에서도 높은 순위를 달성할 것으로 추산된다. 프라임 데이 기간, 실시간 판매량이 반영되는 베스트셀러 차트에서도 코스알엑스의 스네일 에센스는 꾸준히 1위 자리를 지켰다.

마켓디펜스 측은 "코스알엑스의 매출은 히어로 제품인 스네일 에센스의 힘으로 전년 대비 1000% 이상 증가했으며, 이 제품은 아마존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페이셜 세럼으로 랭크됐다"고 소개했다.

바이오던스의 콜라겐 마스크는 2215개의 리뷰와 4.4점의 평점으로 25위 내에 첫 진입했다. 마켓디펜스와 뷰티매터에 따르면 2분기 이 제품에 대한 검색이 1900% 급증했고, 월 매출은 수백만 달러에 달했다.

바이오던스의 콜라겐 마스크의 가격은 19 달러로, 상위 25개 제품 가격 평균인 13.46 달러를 웃돈다. 비교적 높은 가격대의 제품이지만 빠른 입소문을 바탕으로 지난 프라임 데이 기간 차트에서도 5위권 내 순위를 유지했다.

마켓디펜스 측에 따르면 바이오던스가 10위권 내에 진입하도록 이끈 주요 키워드는 크게 제품 검색어와 브랜드 검색어로 나뉜다. 제품 검색어는 '콜라겐 페이스 마스크'와 '한국 페이스 마스크'다. 브랜드 검색어는 바이오던스와 K-뷰티 경쟁사인 메디큐브, 코코뷰티 등의 브랜드 검색어가 섞인 결과다.

마켓디펜스 CEO 바네사 쿠이켄달(Vanessa Kuykendall)은 "바이오던스는 검색 빈도가 높은 용어를 파악하고 적절하게 광고함으로써, 유사한 제품을 판매하는 다른 브랜드들을 앞지를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아누아의 어성초 클렌징오일은 지난해 4분기 처음 14위로 상위권에 올랐다가, 이번 2분기 다시 25위로 순위권에 재진입했다. 리뷰 수 9603개에 평점은 4.3이다.

통합 순위는 아니지만, 메이크업 카테고리의 Top 10에는 티르티르의 '마스크 핏 레드 쿠션 파운데이션 트라이얼 키트'가 포함됐다. SNS 상에서 티르티르의 36가지 색상의 레드 쿠션 제품이 바이럴을 타며 알려지자, 이에 관심을 가진 미국 소비자들이 본인의 피부 색에 맞는 제품 색상을 찾기 위해 키트 형식의 제품을 구매한 것으로 보인다.

아마존의 베스트셀러 차트에서 K-뷰티 브랜드가 3개, 개별 카테고리까지 포함하면 4개가 포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마켓디펜스 측은 이에 대해 "K-뷰티의 인기가 식지 않고 있다"고 표현했다.

자료에 따르면 아마존 내 한국 스킨케어(Korean Skincare)'에 대한 검색은 지난해 대비 180% 증가했으며, K-뷰티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트래픽을 주도한 주요 요인은 소셜미디어였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등의 플랫폼에 한국 뷰티 제품을 선보이는 뷰티 인플루언서와 스킨케어 애호가들이 늘어났으며, 특히 틱톡에서 #kbeautymakeup 해시태그가 포함된 검색은 전년비 85% 증가했다.

K-뷰티가 아마존에서 큰 인기를 누리면서 높은 수요를 수익으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 쿠이켄달은 △제품 개발 혁신 △여러 단계의 스킨케어 루틴 강조 △합리적인 가격대의 고품질 제품 △미학적이면서 기능적 포장재 △강력한 온라인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긍정적 고객 리뷰 △문화적 관련성(K-팝, 드라마 등)과 스토리텔링 △소비자 교육이 있었다고 소개했다.

쿠이켄달은 "K-뷰티 브랜드들이 성공적으로 해왔던 것처럼, 이러한 전략을 통해 아마존에서 판매하는 뷰티 브랜드들은 브랜드의 매력을 높이고, 소비자와 강력한 관계를 구축해 매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