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재무적 요소보다 비재무적 요소인 ESG에 방점이 찍히고 있다. 기후위기가 ‘발등의 불’이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환경 보호의 중요성이 커지고 소비자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ESG 경영은 필수요소로 자리 잡았다. 정부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의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어 2030년까지 코스피 상장사 전체로 의무화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ESG 공시가 2년 앞으로 다가오자 대기업들도 바짝 긴장하고 있는 모양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100개사 ESG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56.0%)이 ‘ESG 공시 의무화 일정을 최소 1년 이상 연기하고, 일정 기간(2~3년) 책임 면제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화장품 기업은 다소 느긋한 편이다. 우선 ESG 공시 대상 기업이 아모레퍼시픽 그룹, LG생활건강 등 3~4개 기업밖에 되지 않아 대부분의 화장품 기업은 규제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 영세기업이 많은 화장품 업계는 ESG 경영을 아직은 강건너 불로 구경하고 있는 셈이다. 소셜 벤처 슬록 김기현 대표는 5일 “화장품 기업은 에너지 전기 전력 등의 업종에 비해선 규제를 적게 받고 있어선지 인식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수출 진행 중인 기업이나 OEM 업체라면 당장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슬록은 기업 참여형 화장품 중고거래플랫폼 '노웨이스트(NO WASTE)'를 운영하고 있다. 실제로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선 ESG 관련 규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며, 대부분 직간접적으로 화장품과 연관돼 있다. 2026년 발효를 앞두고 있는 탄소국경세는 탄소비용이 반영되지 않은 수입품에 대해 EU 생산제품과 동일한 수준의 탄소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다. 플라스틱이 적용대상이어서 화장품 수출기업에는 새로운 무역장벽이 될 수 있다. 2024년 채택이 확정된 플라스틱국제협약은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세, 포장세를 강화하겠다는 협약이다. 플라스틱 포장재를 많이 사용하는 화장품에는 직격탄이다. 2024년 EU의회에서 입법이 예상되는 공급망실사지침에 따르면 대기업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비(非)EU 기업은 공급망 전체에 걸쳐 환경 및 인권 관련 실사를 의무적으로 진행하고 관련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환경 및 인권 관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주·납품 등에 불이익이 생길 수 있다. 기업이 필요한 전력을 재생에너지를 통해 100% 공급받겠다는 민간 자발적 캠페인 ‘RE100’도 의식 있는 소비자들에겐 검증의 잣대가 될 수 있어 무시할 수 없는 항목이다. 김 대표는 “중소기업이라도 ESG 경영 담당자를 지정해 해외의 규제 변화를 점검하고, K-ESG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중장기 목표를 세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EU를 중심으로 해외의 경우 ESG 경영 관련 규제항목은 600여개에 이른다. 정부는 각각의 평가기준, 평가방식을 파악하기 쉽지 않은 기업들을 위해 2021년 21개 범주 61개 항목으로 구성된 K-ESG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김 대표는 “중소기업이라면 우선 포장재 줄이기,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사용 등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환경보호에 꼭 필요한 것부터 실천해보라”면서 “간단하게라도 정기적으로 ESG 경영보고서를 펴낼 것”을 추천했다. 화장품 기업에 대한 규제가 아직은 촘촘하지 않아 피해갈 수 있어도 ESG 경영에 앞장서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화장품이 고탄소구조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화장품은 생산 유통 소비 폐기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고탄소구조”라고 지적했다. 석유화학 계열 기초화학물질(70개) 및 플라스틱 소재(20개) 사용이 빈번하고, 사용감과 기능개선을 위한 고분자 합성소재의 사용도 늘고 있다. 또 포장재 및 내용물에 고탄소 고분자 소재를 빈번하게 쓰고 있다. 김 대표는 “전체 화장품 용기 중 재활용 가능 비율은 18.7%에 불과하다”면서 “화장품 포장재는 예쁜 쓰레기”라고 지적했다. 화장품이 소비자에게 도달하기도 전에 버려지는 산업폐기량은 연간 4410억원어치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대표는 해외의 경우 국내보다 지속가능성 관련 비중이 높고 기준 및 평가지표가 고도화 됐다면서 국내외 대표적인 편집숍을 예로 들었다. 우리나라의 CJ올리브영의 경우 2020년 자체기준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16개 유해성분 필수 배제 등 착한 성분, 재활용 및 재생 용이한 소재의 용기 등 친환경, 동물보호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과 영국은 좀 더 기준이 까다롭다. 2018년부터 ‘클린앳세포라’ 캠페인을 펼치고 있는 미국의 세포라는 깨끗한 성분을 기본으로 기후공약(climate commitment), 지속가능한 공급망(sustainable Sourcing), 책임감 있는 포장(responsible packaging), 환경 기부(Environment Giving) 등 지구친화적인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영국의 컬트 뷰티도 2018년부터 자체적으로 컬트 컨셔스를 시행하고 있다. 세포라보다 ESG 관련 전반을 검증기준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좀 더 엄격하다. 비건(Vegan), 동물실험 배제(Cruelty-Free), 재활용 가능한 포장(Recyclable Packaging, 지속가능한 공급망(Sustainable Sourcing), 오가닉, 자연성분(Natural ingredients), 깨끗한 성분(Clean Ingredients), 리필 가능한 포장(Refillable Packaging),carbon Neutal(탄소 중립) 등 다양한 평가항목을 갖고 있다. |
최근 재무적 요소보다 비재무적 요소인 ESG에 방점이 찍히고 있다. 기후위기가 ‘발등의 불’이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환경 보호의 중요성이 커지고 소비자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ESG 경영은 필수요소로 자리 잡았다.
정부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의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어 2030년까지 코스피 상장사 전체로 의무화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ESG 공시가 2년 앞으로 다가오자 대기업들도 바짝 긴장하고 있는 모양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100개사 ESG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56.0%)이 ‘ESG 공시 의무화 일정을 최소 1년 이상 연기하고, 일정 기간(2~3년) 책임 면제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화장품 기업은 다소 느긋한 편이다. 우선 ESG 공시 대상 기업이 아모레퍼시픽 그룹, LG생활건강 등 3~4개 기업밖에 되지 않아 대부분의 화장품 기업은 규제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 영세기업이 많은 화장품 업계는 ESG 경영을 아직은 강건너 불로 구경하고 있는 셈이다.
소셜 벤처 슬록 김기현 대표는 5일 “화장품 기업은 에너지 전기 전력 등의 업종에 비해선 규제를 적게 받고 있어선지 인식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수출 진행 중인 기업이나 OEM 업체라면 당장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슬록은 기업 참여형 화장품 중고거래플랫폼 '노웨이스트(NO WASTE)'를 운영하고 있다.
실제로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선 ESG 관련 규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며, 대부분 직간접적으로 화장품과 연관돼 있다.
2026년 발효를 앞두고 있는 탄소국경세는 탄소비용이 반영되지 않은 수입품에 대해 EU 생산제품과 동일한 수준의 탄소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다. 플라스틱이 적용대상이어서 화장품 수출기업에는 새로운 무역장벽이 될 수 있다.
2024년 채택이 확정된 플라스틱국제협약은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세, 포장세를 강화하겠다는 협약이다. 플라스틱 포장재를 많이 사용하는 화장품에는 직격탄이다.
2024년 EU의회에서 입법이 예상되는 공급망실사지침에 따르면 대기업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비(非)EU 기업은 공급망 전체에 걸쳐 환경 및 인권 관련 실사를 의무적으로 진행하고 관련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환경 및 인권 관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주·납품 등에 불이익이 생길 수 있다.
기업이 필요한 전력을 재생에너지를 통해 100% 공급받겠다는 민간 자발적 캠페인 ‘RE100’도 의식 있는 소비자들에겐 검증의 잣대가 될 수 있어 무시할 수 없는 항목이다.
김 대표는 “중소기업이라도 ESG 경영 담당자를 지정해 해외의 규제 변화를 점검하고, K-ESG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중장기 목표를 세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EU를 중심으로 해외의 경우 ESG 경영 관련 규제항목은 600여개에 이른다. 정부는 각각의 평가기준, 평가방식을 파악하기 쉽지 않은 기업들을 위해 2021년 21개 범주 61개 항목으로 구성된 K-ESG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김 대표는 “중소기업이라면 우선 포장재 줄이기,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사용 등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환경보호에 꼭 필요한 것부터 실천해보라”면서 “간단하게라도 정기적으로 ESG 경영보고서를 펴낼 것”을 추천했다.
화장품 기업에 대한 규제가 아직은 촘촘하지 않아 피해갈 수 있어도 ESG 경영에 앞장서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화장품이 고탄소구조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화장품은 생산 유통 소비 폐기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고탄소구조”라고 지적했다.
석유화학 계열 기초화학물질(70개) 및 플라스틱 소재(20개) 사용이 빈번하고, 사용감과 기능개선을 위한 고분자 합성소재의 사용도 늘고 있다. 또 포장재 및 내용물에 고탄소 고분자 소재를 빈번하게 쓰고 있다.
김 대표는 “전체 화장품 용기 중 재활용 가능 비율은 18.7%에 불과하다”면서 “화장품 포장재는 예쁜 쓰레기”라고 지적했다.
화장품이 소비자에게 도달하기도 전에 버려지는 산업폐기량은 연간 4410억원어치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대표는 해외의 경우 국내보다 지속가능성 관련 비중이 높고 기준 및 평가지표가 고도화 됐다면서 국내외 대표적인 편집숍을 예로 들었다.
우리나라의 CJ올리브영의 경우 2020년 자체기준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16개 유해성분 필수 배제 등 착한 성분, 재활용 및 재생 용이한 소재의 용기 등 친환경, 동물보호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과 영국은 좀 더 기준이 까다롭다. 2018년부터 ‘클린앳세포라’ 캠페인을 펼치고 있는 미국의 세포라는 깨끗한 성분을 기본으로 기후공약(climate commitment), 지속가능한 공급망(sustainable Sourcing), 책임감 있는 포장(responsible packaging), 환경 기부(Environment Giving) 등 지구친화적인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영국의 컬트 뷰티도 2018년부터 자체적으로 컬트 컨셔스를 시행하고 있다. 세포라보다 ESG 관련 전반을 검증기준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좀 더 엄격하다. 비건(Vegan), 동물실험 배제(Cruelty-Free), 재활용 가능한 포장(Recyclable Packaging, 지속가능한 공급망(Sustainable Sourcing), 오가닉, 자연성분(Natural ingredients), 깨끗한 성분(Clean Ingredients), 리필 가능한 포장(Refillable Packaging),carbon Neutal(탄소 중립) 등 다양한 평가항목을 갖고 있다.
정부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의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어 2030년까지 코스피 상장사 전체로 의무화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ESG 공시가 2년 앞으로 다가오자 대기업들도 바짝 긴장하고 있는 모양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100개사 ESG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56.0%)이 ‘ESG 공시 의무화 일정을 최소 1년 이상 연기하고, 일정 기간(2~3년) 책임 면제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화장품 기업은 다소 느긋한 편이다. 우선 ESG 공시 대상 기업이 아모레퍼시픽 그룹, LG생활건강 등 3~4개 기업밖에 되지 않아 대부분의 화장품 기업은 규제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 영세기업이 많은 화장품 업계는 ESG 경영을 아직은 강건너 불로 구경하고 있는 셈이다.
소셜 벤처 슬록 김기현 대표는 5일 “화장품 기업은 에너지 전기 전력 등의 업종에 비해선 규제를 적게 받고 있어선지 인식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수출 진행 중인 기업이나 OEM 업체라면 당장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슬록은 기업 참여형 화장품 중고거래플랫폼 '노웨이스트(NO WASTE)'를 운영하고 있다.
실제로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선 ESG 관련 규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며, 대부분 직간접적으로 화장품과 연관돼 있다.
2026년 발효를 앞두고 있는 탄소국경세는 탄소비용이 반영되지 않은 수입품에 대해 EU 생산제품과 동일한 수준의 탄소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다. 플라스틱이 적용대상이어서 화장품 수출기업에는 새로운 무역장벽이 될 수 있다.
2024년 채택이 확정된 플라스틱국제협약은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세, 포장세를 강화하겠다는 협약이다. 플라스틱 포장재를 많이 사용하는 화장품에는 직격탄이다.
2024년 EU의회에서 입법이 예상되는 공급망실사지침에 따르면 대기업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비(非)EU 기업은 공급망 전체에 걸쳐 환경 및 인권 관련 실사를 의무적으로 진행하고 관련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환경 및 인권 관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주·납품 등에 불이익이 생길 수 있다.
기업이 필요한 전력을 재생에너지를 통해 100% 공급받겠다는 민간 자발적 캠페인 ‘RE100’도 의식 있는 소비자들에겐 검증의 잣대가 될 수 있어 무시할 수 없는 항목이다.
김 대표는 “중소기업이라도 ESG 경영 담당자를 지정해 해외의 규제 변화를 점검하고, K-ESG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중장기 목표를 세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EU를 중심으로 해외의 경우 ESG 경영 관련 규제항목은 600여개에 이른다. 정부는 각각의 평가기준, 평가방식을 파악하기 쉽지 않은 기업들을 위해 2021년 21개 범주 61개 항목으로 구성된 K-ESG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김 대표는 “중소기업이라면 우선 포장재 줄이기,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사용 등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환경보호에 꼭 필요한 것부터 실천해보라”면서 “간단하게라도 정기적으로 ESG 경영보고서를 펴낼 것”을 추천했다.
화장품 기업에 대한 규제가 아직은 촘촘하지 않아 피해갈 수 있어도 ESG 경영에 앞장서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화장품이 고탄소구조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화장품은 생산 유통 소비 폐기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고탄소구조”라고 지적했다.
석유화학 계열 기초화학물질(70개) 및 플라스틱 소재(20개) 사용이 빈번하고, 사용감과 기능개선을 위한 고분자 합성소재의 사용도 늘고 있다. 또 포장재 및 내용물에 고탄소 고분자 소재를 빈번하게 쓰고 있다.
김 대표는 “전체 화장품 용기 중 재활용 가능 비율은 18.7%에 불과하다”면서 “화장품 포장재는 예쁜 쓰레기”라고 지적했다.
화장품이 소비자에게 도달하기도 전에 버려지는 산업폐기량은 연간 4410억원어치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대표는 해외의 경우 국내보다 지속가능성 관련 비중이 높고 기준 및 평가지표가 고도화 됐다면서 국내외 대표적인 편집숍을 예로 들었다.
우리나라의 CJ올리브영의 경우 2020년 자체기준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16개 유해성분 필수 배제 등 착한 성분, 재활용 및 재생 용이한 소재의 용기 등 친환경, 동물보호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과 영국은 좀 더 기준이 까다롭다. 2018년부터 ‘클린앳세포라’ 캠페인을 펼치고 있는 미국의 세포라는 깨끗한 성분을 기본으로 기후공약(climate commitment), 지속가능한 공급망(sustainable Sourcing), 책임감 있는 포장(responsible packaging), 환경 기부(Environment Giving) 등 지구친화적인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영국의 컬트 뷰티도 2018년부터 자체적으로 컬트 컨셔스를 시행하고 있다. 세포라보다 ESG 관련 전반을 검증기준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좀 더 엄격하다. 비건(Vegan), 동물실험 배제(Cruelty-Free), 재활용 가능한 포장(Recyclable Packaging, 지속가능한 공급망(Sustainable Sourcing), 오가닉, 자연성분(Natural ingredients), 깨끗한 성분(Clean Ingredients), 리필 가능한 포장(Refillable Packaging),carbon Neutal(탄소 중립) 등 다양한 평가항목을 갖고 있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