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대<공학박사, (주)비타코스 대표> 기능성 화장품 : 마이크로 캡슐 고분자 계-3 :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방법-2 물리화학적 마이크로 캡슐 제조방법에는 수용액계와 유기용매계를 이용하는 상분리 방법들이 있는데, 수용액계 상분리방법은 함입물질이 소수성일때 가능하며, 막의 재질로는 젤라틴과 폴리음이온 복합물/젤라틴/폴리비닐알콜 등이 이용되며 캡슐직경은 1㎛~3mm 정도로 비교적 크다. 수용액계를 이용하는 상분리 방법을 코아세르베이션법이라고 하는데 이 방법에서는 고분자용액이 고농도와 저농도의 2개의 용액으로 상분리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유기용매계는 수용성의 액체 및 고체 함입물질에 대하여 이용되며 막의 재질은 에틸셀루로오스, 폴리스틸렌 등이고 캡슐직경은 1~500㎛의 범위이다. 물리적 캡슐 제조방법들 중에는 수용성 및 소수성의 액체가 함입물질일때 이용되는 오리피스법이 있는데, 이 방법의 막의 재질로서는 젤라틴/알진산/왁스 등이 이용되며 캡슐의 직경은 0.5~10mm의 범위이다. 다음으로 함입물질이 수용성 및 소수성의 액체나 고체 모두에 이용이 가능한 스프레이 드라이법과 함입물질이 수용성 및 소수성의 고체일때만 가능한 범코팅법 등이 있는데, 이들 방법에서는 막의 재질로서 물 또는 유기용매에 녹는 고분자 또는 왁스 등이 이용되며 캡슐직경은 각각 10㎛~2mm와 0.5~5mm 범위이다. 함입물질의 보호기능이 높은 치밀한 피막의 형성에 적합한 캡슐화방법에는 오리피스법, 코아세르베이션법, 중합법(in situ) 등이 있고 서방성의 다공질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액중건조법, 유기용매계의 상분리법, 계면중합법, 계면반응법 등이 있으므로 목적에 맞는 방법을 잘 선택해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화가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되는 비타민, 효소 등의 주요성분의 안정성을 향상 시켜주지만 이들은 캡슐화공정 중의 온도, 열, 중금속, 광 등에 심한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점도 잘 고려해야 한다. |